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2

[TIL 0627] SUBQUERY (스칼라 서브쿼리) SUBQUERY 란 질의 안에 질의가 있는 구조로 계속해서 중첩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SELECT와 FROM이 함께 작성되고, SUBQUERY를 통해 반환된 값 혹은 (행, 열, 테이블)을 다시 한 번 바깥에 있는 쿼리(주 쿼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SUBQUERY 의 위치는1. SELECT 2. FROM3. WHERE  절 어디든 사용가능한데, 오늘은 SELECT절에 사용될 때에 대한 글입니다. SELECT 절에 사용될 때 Scalar Subquery 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Scalar" 라는 용어는 단일 값을 나타내는 수학적 개념에서 유래된 말로, Scalar Subquery 가 단일 행 (single row) 과 단일 열(single column)을 반환.. 2024. 6. 27.
[TIL 0627] 데이터 분석가가 갖춰야 할 9가지 역량 데이터 분석 직무에서 갖춰야 할 역량 9가지 !! 하드 스킬과 소프트스킬로 나눠서 생각해봅시다.  먼저, 하드 스킬은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기술적인 것은 교육, 자격증, 직장 경험 등을 통해 습득되며, 측정 가능(증명 가능)(프로그래밍 Level, 통계학 관련 자격증, SW를 사용한 시각화 포트폴리오, 등)하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소프트 스킬은 사람들과의 (직장동료와의) 상호작용, 문제해결, 의사소통 등과 관련된 비기술적(인성적)이고 대인 관계적인 능력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개인의 성격, 태도, 행동 등을 반영하며, 하드 스킬과 달리 측정하기가 어렵습니다.하드스킬(Hard Skill)1. 프로그래밍(SQL***, Python*.. 2024. 6. 27.
[프로그래머스 Python] 자릿수 더하기 문제 설명(블라블라블라 ~ ) 자연수 N이 주어지면, N의 각 자릿수의 합을 구해서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만들어 주세요.예를들어 N = 123이면 1 + 2 + 3 = 6을 return 하면 됩니다. (요약 : 각 자릿수 더해보세요) 나만의 생각 회로 (문제 풀이)1. 흠.. 자릿수 더해주는 함수가 있나 2. 문자열로 바꿔서 각 자릿수에 인덱스를 활용해서 더해보자.. 이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방법이 떠오름 !3. 그래서 떠오른 해결책 ! 1) 받아온 n 을 string 으로 변환한다. 2) answer 변수를 0값을 할당해준다. 3) string 을 순회하면서 각 값을 다시 정수로 변환해서 answer 에 더해준다 !def solution(n): str_n = str(n) .. 2024. 6. 26.
[TIL 0626] GROUP BY 와 HAVING GROUP BYGROUP BY절은 변수 안의 값들을 묶어 주기 위한 작업 !전체 데이터를 기준으로 조회할 때는 GROUP BY 절이 필요하지 않지만, (When?)특정 컬럼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요약해서 비교하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SQL 작성방법1. SELECT 절에 기준컬럼(범주형변수, Categorical Variable) 작성2. 집계함수(COUNT, MAX, MIN, AVG, SUM) 작성 *집계함수 : 어떤 수를 모아서 어떤 값을 계산하는 것3. WHERE절 이후 GROUP BY 기준컬럼(그룹으로 묶어줄 변수) 작성 (WHERE 절은 생략이 가능하다.) *SQL의 작동순서 : FROM -> ON -> JOIN -> WHERE -> GROUP BY -> HAVING -> SELECT -> D.. 2024.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