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제한 조건 및 입출력 예시
💡오답코드
오답코드의 문제점
1. 대문자와 소분자 구분이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다.
2. 'z' 와 'Z' 에 대해서만 예외 처리를 해줬기 때문에 예외가 많이 발생 (y + 3 = b)
def solution(s, n):
# 예외 , 공백 z -> a
new_ls = []
for a_ in s :
if a_ != ' ' and a_ != 'z' and a_ != 'Z':
new_ls.append(chr(ord(f'{a_}') + n))
elif a_ == 'z' or a_ == 'Z' :
new_ls.append(chr(ord(a_) - 26 + n))
else :
new_ls.append(' ')
answer = ''.join(new_ls)
return answer
💡정답코드
1. 소문자 / 대문자를 문자열로 명시해주기
2. .isalpha() 함수를 통해 문자열인지 공백인지 구분
3. 소문자인 경우와 대문자인 경우를 나누기
4. 알파벳이 26개인 것을 활용해서 n 을 더했을 때 26이 넘어가는 경우를 26을 나눈 나머지로 대체
def solution(s, n):
lower_alphabet = 'abcdefghijklmnopqrstuvwxyz'
upper_alphabet = 'ABCDEFGHIJKLMNOPQRSTUVWXYZ'
# s = "ab zA DH"
# n = 2
result = []
for s_ in s :
if s_.isalpha() :
if s_.islower() :
idx = lower_alphabet.find(s_) + n
result.append(lower_alphabet[idx % 26])
else :
idx = upper_alphabet.find(s_) + n
result.append(upper_alphabet[idx % 26])
else :
result.append(' ')
answer = ''.join(result)
print(answer)
💡또 다른 정답 코드 (아스키 코드 활용)
<개인적으로 가장 완벽한 코드 , 예외 발생 x >
1. 문자열을 하나씩 받는다.
2. 소문자, 대문자, 공백or특수문자인 경우로 나눈다 (물론, 현재 문제에서는 특수문자 존재 x)
- 각 문자가 소문자인 경우, 'a'를 기준으로 n만큼 이동하여 새로운 문자를 계산합니다.
- 각 문자가 대문자인 경우, 'A'를 기준으로 n만큼 이동하여 새로운 문자를 계산합니다.
- 공백 및 기타 문자는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합니다.
def solution(s, n):
new_ls = []
for char in s:
if char.islower():
# 'a'의 아스키 코드 값을 기준으로 밀기
new_ls.append(chr((ord(char) - ord('a') + n) % 26 + ord('a')))
elif char.isupper():
# 'A'의 아스키 코드 값을 기준으로 밀기
new_ls.append(chr((ord(char) - ord('A') + n) % 26 + ord('A')))
else:
# 공백 및 기타 문자는 그대로 추가
new_ls.append(char)
answer = ''.join(new_ls)
return answer
반응형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Python] 가장 가까운 값 찾기 (0) | 2024.07.12 |
---|---|
[프로그래머스 Python]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0) | 2024.07.11 |
[프로그래머스 Python]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속도 이슈..?) (0) | 2024.07.05 |
[프로그래머스 Python]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콜라츠 추측, 문자열 내림차순 배치하기 (0) | 2024.07.03 |
[프로그래머스 Python] 없는 숫자 더하기,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 (0) | 2024.07.01 |